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청년수당 vs 청년기본소득 차이점 완벽정리|2025년 최신 비교

by 이익을 쌓는 둥지 2025. 7. 10.
반응형

청년수당과 청년기본소득, 비슷해 보이지만 대상·지급방식·정책목적 모두 다릅니다. 2025년 최신 기준으로 두 제도의 차이점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
헷갈리는 청년 정책, 정확히 알아야 혜택을 누립니다

“청년수당”과 “청년기본소득”은 모두 청년을 위한 복지 정책이지만 지원 대상, 신청 조건, 지급 방식 등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.

혼동하기 쉬운 이 두 정책을 2025년 최신 기준으로 비교해 어떤 제도를 내가 신청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세요. 아래 표와 항목별 비교를 통해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
청년수당 vs 청년기본소득 비교표

구분 청년수당 청년기본소득
시행 지역 서울시 등 일부 광역시 경기도 (일부 시·군 확장)
지원 대상 미취업 또는 단기근로 청년 만 24세 모든 청년 (소득 무관)
연령 조건 만 19~34세 만 24세 고정
지원 금액 월 50만 원 × 6개월 (총 300만 원) 분기당 25만 원 (연 100만 원)
지급 방식 서울Pay+, 지역화폐 등 경기지역화폐 앱으로 지급
사용 목적 제한 학습, 진로탐색, 생활비 등 일부 제한 자유롭게 사용 가능 (소비 제한 없음)
신청 채널 서울청년포털 잡아바 (Jobaba)
신청 시기 연 1~2회 공고형 모집 분기별 상시 접수

누가 어떤 제도를 선택해야 할까?

👉 서울 청년이라면 ‘청년수당’을
미취업 상태거나 단기 근로 중이라면 청년수당을 통해 총 3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단, 경쟁률이 높고 자격 조건이 조금 까다롭습니다.

👉 경기도 청년이라면 ‘청년기본소득’을
만 24세 경기도 청년이라면 누구나 소득 무관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분기별로 25만 원씩 받을 수 있고, 신청 절차도 간편합니다.

중복 지원 가능할까?

  • 서울 청년수당 + 경기도 기본소득: 주소지가 다르면 불가
  • 동일 시점에 중복 수령은 불가능
  • 각 제도 신청 시 다른 복지 수당과 중복 여부 확인 필요

나에게 맞는 청년 지원금, 지금 확인하세요

비슷해 보이지만 전혀 다른 두 제도, 청년수당과 청년기본소득의 차이를 알고 있어야 놓치지 않고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내가 사는 지역, 나의 고용 상태, 나이 조건에 따라 신청 가능한 제도를 선택하고, 정해진 기간 내에 꼭 신청하세요!